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약초 story

양미역취의 유래와 생태계교란종의 종류 및 대처 방법 알아보기

by 심플청아 2024. 7. 16.
반응형

양미역취의 유래생태계교란종의 종류 및 대처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양미역취꽃

 

1. 양미역취란?

 

양미역취는 국화과의 다년생 식물로, 북아메리카 원산지이며 한국에서는 주로 산이나 들에서 발견됩니다. 양미역취는 독성이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게 해로울 수 있으며,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번식력이워낙 좋아 낙동강 하구를 뒤덮을 정도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되어 제거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양미역취의 다른 이름으로는 키다리미역취, Tall Golden-rod 등이 있습니다. 양미역취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외래 식물로, 미역취속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높이는 1-2.5m 정도이며, 학명이 Solidago altissima L.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양미역취는 습한 곳이나 물가, 숲 가장자리 등 다양한 환경에서 자라는 생태계 교란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빠르게 퍼져나가 다른 식물들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양미역취의 특징>

 

- 키는 100∼250cm정도이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거친 털이 있으며, 잎은 어긋나는 피침형으로 얕은 톱니가 있습니다.

- 꽃은 9∼10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원줄기와 가지끝에 커다란 원뿔모양으로 모여 달립니다. 

- 혀꽃의 암술머리는 길어서 꽃부리의 통부에서 길게 나오는 것이 특징입니다.

- 줄기는 직립하고 가지가 많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길고 좁은 형태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작은 노란색 또는 흰색 꽃이 피며, 꽃은 원뿔형의 꽃차례에 모여 있습니다.
- 꽃이 진 후에는 수많은 작은 씨앗이 만들어지며, 바람에 의해 퍼집니다.

양미역취는 다양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으며, 특히 교란된 지역에서 잘 자랍니다. 도로변, 폐허, 건설 현장, 농장 가장자리 등에서 흔히 발견됩니다. 이 식물은 햇빛이 잘 드는 곳과 약간 그늘진 곳 모두에서 자랄 수 있습니다.

 

 

2. 생태계교란종이란?


생태계교란종은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로, 위해성평가 결과 생태계에 미치는 위해가 큰 것으로 판단되어 환경부장관이 지정 고시한 생물을 말합니다.

 

생태계교란종은 국내 생태계의 균형을 무너뜨려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킵니다.

대표적인 생태계교란종으로는 뉴트리아, 황소개구리, 큰입배스, 파랑볼우럭(블루길), 꽃매미,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서양등골나물,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도깨비가지, 애기수영, 가시박, 이뭄쑥부쟁이, 양미역취, 영국갯끈풀 등이 있으며, 이러한 종들은 강한 번식력 천적이 없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생태계교란종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외래종이 서식지가 아닌 다른 지역에 인위적으로 도입되는 경우가 많아 생태계교란종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해당 지역에 원래부터 서식하던 생물 중에서도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된 것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생태계의 변화로 인해 개체수가 급증하거나 인간의 활동에 의해 개체수가 증가하여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는 경우이며, 대표적인 예시는 멧돼지, 고라니, 까마귀, 참새, 까치, 흰머리비둘기 등이 있습니다.

 

 

 

 

 

 

 

 

3. 생태계교란종 대표적인 식물

 

생태계 교란종 식물은 자연 생태계에 외래종으로 유입되어 기존의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식물들입니다. 이러한 식물들은 경쟁, 포식, 기생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원래의 생태계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대표적인 생태계 교란종 식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원산지: 동아시아
특징: 빠르게 자라며 다른 식물들을 덮어 성장에 방해를 줍니다.


가시박 (Sicyos angulatus):
원산지: 북아메리카
특징: 덩굴식물로, 다른 식물들을 감고 올라가서 광합성을 방해합니다.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원산지: 북아메리카
특징: 알레르기 유발 식물로, 인간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선인장 (Opuntia spp.):
원산지: 아메리카
특징: 가시가 있어 가축에게 해를 끼치며, 토양의 수분을 빼앗아 다른 식물의 성장을 저해합니다.


자주개자리 (Medicago sativa):
원산지: 서아시아
특징: 빠르게 번식하며 토양의 질소를 고정시켜 다른 식물의 성장을 저해합니다.


이 외에도 많은 식물들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교란종 식물들은 지속적인 관리와 연구가 필요하며, 가능한 한 빠르게 제거하거나 통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생태계교란종 대처 방법

 

 

생태계 교란종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접근 방법이 필요합니다. 대처 방법은 주로 예방, 조기 발견 및 신속 대응, 물리적 제거, 생물학적 제어, 화학적 제어, 법적 및 정책적 대응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예방
규제 및 감시: 교란종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국경 검역을 강화하고, 위험 종의 수입을 규제합니다.
교육 및 홍보: 일반 대중과 관련 기관에 교란종의 위험성을 교육하고, 식물이나 동물을 이동시킬 때 주의해야 할 점을 홍보합니다.


2. 조기 발견 및 신속 대응
모니터링: 교란종의 유입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신속 대응 팀: 교란종이 발견되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전문가 팀을 구성하여 신속하게 조치를 취합니다.


3. 물리적 제거
수작업 제거: 작은 규모의 교란종은 손으로 직접 뽑거나 도구를 이용해 제거합니다.
기계적 제거: 큰 규모의 교란종은 기계를 이용해 뽑거나 절단합니다.
화재: 일부 지역에서는 통제된 화재를 이용해 교란종을 제거하기도 합니다.


4. 생물학적 제어
천적 도입: 교란종을 자연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천적을 도입하여 제어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곤충이나 미생물을 이용해 교란종의 번식을 억제합니다.
경쟁 종 도입: 교란종과 경쟁할 수 있는 식물이나 동물을 도입하여 자원의 경쟁을 통해 교란종을 억제합니다.

 

 


5. 화학적 제어
제초제 사용: 선택적 제초제를 이용해 교란종을 제거합니다. 이때 주변 생태계에 최소한의 영향을 주는 약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살충제 사용: 특정 해충에 의해 확산되는 교란종의 경우, 해당 해충을 대상으로 하는 살충제를 사용합니다.


6. 법적 및 정책적 대응
법률 제정: 교란종 관리 및 제거를 위한 법률을 제정하고, 이에 대한 규정을 엄격히 시행합니다.
정책 개발: 국가적 또는 지역적 차원에서 교란종 관리 정책을 개발하고, 관련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합니다.


7. 복원 작업
자연 복원: 교란종 제거 후 원래의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토착 식물이나 동물을 재도입하고, 생태계 건강을 회복시킵니다.
장기 관리: 복원된 지역이 다시 교란되지 않도록 장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각각의 상황에 맞게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해야 하며, 지속적인 연구와 관리를 통해 교란종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목화(꽃)의 주요 성분, 효능, 이용 방법, 목화씨의 유래 알아보기

목화(꽃)의 주요 성분, 효능, 이용 방법, 목화씨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문익점은 고려시대 말기의 학자이자 문신으로, 원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오면서 목화씨를 가져왔습니다. 1. 목화

simplechunga.tistory.com

 

 

붓들레아의 특성, 유래, 꽃말, 번식 방법 알아보기

붓들레아의 특성, 유래, 꽃말, 번식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붓들레아는 한국에서는 '썸머라일락'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여름에 피는 라일락이라는 뜻입니다.        1

simplechunga.tistory.com

 

 

오십견의 증상과 원인, 치료법 알아보기

오십견의 특징, 증상, 원인, 치료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오십견은 의학적으로 "유착성 관절낭염" 또는 "동결견"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어깨 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통증이 발생하는 상태

simplechunga.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