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약초 story

봄의 전령, 진달래(참꽃) 효능,성분, 부작용 및 유래 알아보기

by 심플청아 2025. 2. 16.
반응형

진달래(참꽃)효능,성분, 부작용 및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1. 진달래의 유래

 

진달래는 한국을 대표하는 봄꽃 중 하나로, 주로 산지와 언덕에서 자생하며 아름다운 꽃을 피웁니다. 학명은 Rhododendron schilostylum 이며, 3월에서 4월 사이에 꽃을 피우고, 보통 연한 분홍색에서 진한 보라색까지 다양한 색상을 띱니다.

 

진달래의 유래는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 진달래는 두견화라고 불렸으며, 이 꽃을 이용해 만든 화전은 봄철 별미로 여겨졌습니다. 특히 신라 시대에는 진달래 화전을 ‘두견화병’이라고 부르며 즐겨먹었다고 합니다. 

 

진달래

 

고려시대에는 진달래를 '얼갈이 꽃'이라고 불렀으며, 꽃의 색상이 여러 가지로 변하는 특징으로 그렇게 불렀습니다. '진달래'라는 이름은 조선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붉은색을 띠는 '진'이라는 단어와 연관되어 지어졌으며, 이러한 붉은 꽃을 '달래'라고 불러 이후 '진달래'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진달래의 특징은 잎보다 꽃이 먼저 피어나며, 가지에 둥그스름한 꽃이 삿갓을 뒤집어 놓은 것 같은 모양이라면 진달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독성이 없음
화전이나 술, 약재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서식 환경
산성 토양에서 잘 자라며, 척박한 환경에서도 강한 생명력을 보입니다.

진달래는 주로 산이나 숲속, 풀밭 등 자연적인 환경에서 발견되며, 특히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잘 자랍니다. 따뜻한 기후를 선호하며,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는 곳에서 자라는 것을 선호합니다. 토양이 잘 배수되고, 건조한 환경을 좋아하므로 과습에 주의해야 합니다.

 

 

 

 

 

 

<진달래와 철쭉 비교>


진달래와 철쭉은 모두 진달래과의 낙엽관목으로, 생김새가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습니다. 

진달래와 철쭉을 구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개화시기
진달래는 3∼4월에 개화하며, 철쭉은 4∼5월에 개화합니다.


꽃모양
진달래는 꽃이 먼저 피고 꽃이 지면서 잎이 나오는 반면, 철쭉은 잎이 먼저 나오고 꽃이 피거나 꽃과 잎이 같이 핍니다. 

 

철쭉


잎모양
진달래는 잎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철쭉은 잎이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이며 끝이 둥글고 큽니다. 


독성유무
진달래는 독성이 없어 먹을 수 있지만, 철쭉은 독성이 있어 먹을 수 없습니다. 


옛날 민간에서는 진달래꽃은 먹을 수 있는 꽃이라 참꽃이라 부르고, 철쭉은 독이 있어 개꽃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진달래의 전설>


진달래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 

하늘에서 내려온 아름다운 선녀가 인간과 사랑에 빠져 딸을 낳았습니다. 그러나 선녀는 다시 하늘로 올라가야 했고, 그녀의 남편이었던 나무꾼은 아내와 딸을 그리워하며 매일 눈물을 흘렸습니다.

딸의 이름은 달래였습니다. 아버지가 죽은 후, 달래는 아버지의 무덤 옆에서 슬프게 울었습니다. 그리고 그 자리에서 꽃이 피어났습니다. 사람들은 그 꽃을 나무꾼의 성 '진'과 딸의 이름 '달래'를 합쳐 진달래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또 다른 유래로는 옛날 촉나라의 망제가 신하의 속임수에 넘어가 나라를 빼앗기고 원통하게 죽어 그 넋이 두견새가 되었는데, 두견새가 울면서 토한 피가 떨어져 진달래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2. 진달래의 성분과 효능


진달래의 성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린 가지
플라보노이드, coumarin, triterpenes, 유기산, 아미노산, 탄닌, phenols, sterol, cardiac glycoside, 정유 성분 함유 


뿌리
탄닌 성분 함유 


꽃과 잎
saponin, tannin, 환원성 물질, 다당류, 플라보노이드, 중성 수지, 스테로이드, 유지, 정유 성분 함유 


열매
전초 성분 함유 

 

진달래는 혈액 순환 촉진 작용, 고혈압, 강압 작용, 화혈, 거풍, 해열, 진해, 거담 작용, 기침, 천식, 해수, 급성 및 만성 기관지염, 지혈, 진통 작용, 토혈, 코피, 월경 불순, 자궁 출혈, 직장 궤양 출혈, 무월경, 외상 통증, 복통, 하리, 치질 출혈, 외상 출혈 및 기타 치료 효과, 타박상, 류머티즘 등의 효능이 있습니다.

 

 

 

 

 



진달래는 동양의 고전의학 서적인 <본초강목>, <동의보감> 등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본초강목>에서는 진달래를 '두견화'라고 부르며,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혈압을 낮추는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진해거담 작용이 있어 기침, 천식, 해수 등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며, 지혈 작용이 있어 토혈, 코피, 월경 불순, 자궁 출혈 등의 증상에도 사용되었습니다. 

<동의보감>에서는 진달래를 '홍두견'이라고 부르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어혈을 풀어주며, 월경을 고르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열을 내리고 염증을 완화하는 효능이 있어 감기나 인후염, 관절염 등의 질환에도 사용되었습니다. 

그 외에도 진달래는 현대의학에서 고혈압 예방, 기관지염, 피부염, 신경통, 통풍, 통증 완화,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 혈액순환 개선, 타박상, 코피, 류머티즘 등의 다양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단, 진달래를 과다하게 복용할 경우 구토, 설사, 복통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양과 방법으로 복용해야 합니다. 

 

 

 

 

3. 진달래 먹는 법

 

진달래는 한국의 전통 음식 중 하나로, 오래 전부터 먹어왔습니다. 또한, 진달래는 조선시대 궁중의 절식으로 만들어졌던 전통음식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삼짇날에 중전을 모시고 비원으로 나가 옥류천가에서 진달래화전를 부쳐 먹으며 화전놀이를 즐겼다고 전해 내려져 오고 있습니다.

 


진달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먹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진달래 먹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진달래꽃차
진달래꽃을 따서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 뒤, 꿀이나 설탕에 재워 15일 정도 숙성시킵니다. 이후 숙성된 진달래꽃을 뜨거운 물에 우려내어 차로 마십니다. 


진달래 화전
진달래꽃을 따서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 뒤,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팬에 구워낸 떡 위에 올려 먹습니다.


진달래술(두견주)
진달래꽃을 따서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 뒤, 소주와 함께 병에 담아 숙성시켜 만듭니다. 


단, 진달래꽃을 섭취할 때에는 반드시 꽃술을 제거하고 먹어야 하며, 독성이 있는 철쭉과 구분하여 섭취해야 합니다.

 

 

 

 

 

 

 

4. 진달래의 부작용

 

진달래의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너무 많이 먹으면 호흡 마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진달래 차나 술로 마실 것을 권유하고 꽃과 잎에 유독 성분이 검출되어 식용으로는 권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고혈압을 예방해주는 효능이 뛰어난 진달래는 부정맥 환자에게는 맥박이 빨라지고 가슴이 두근거릴 수 있다고 하며, 한꺼번에 너무 많은 양을 마시면 저혈압 환자의 경우 혈압이 너무 떨어져 위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갓배추(백개자)의 효능, 성분, 먹는법, 부작용 및 유래 알아보기

갓배추(백개자)의 효능, 성분, 먹는법, 부작용 및 유래 알아보기     1. 갓의 유래갓은 십자화과(Brassicaceae)에 속하는 채소로, 아시아 특히 한국과 중국에서 오랫동안 재배되어 왔습니다. 

simplechunga.tistory.com

 

유채의 효능, 성분, 먹는법, 부작용 및 유래 알아보기

유채의 효능, 성분, 먹는법, 부작용 및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1. 유채란?  유채는 겨자과의 두해살이풀로, 보통 80∼130cm 정도 자랍니다. 유채의 학명은 Brassica napus이며, 원산지는

simplechunga.tistory.com

 

딸기의 효능, 성분, 먹는법, 부작용 및 유래 알아보기

딸기의 효능, 성분, 먹는법, 부작용 및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딸기는 새콤달콤한 맛과 풍부한 영양소로 사랑받는 과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딸기의 유래, 성분, 효능, 먹는 법, 그리고 부작용

simplechunga.tistory.com

 

아마란스의 효능, 성분, 먹는 법, 부작용 및 유래 알아보기

아마란스(Amaranth)의 효능, 성분, 먹는 법, 부작용 및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아마란스는 고대부터 중요한 식량자원으로 여겨져 온 곡물로, 영양가가 높아 슈퍼푸드로도 주목받고 있습

simplechunga.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