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약초 story

불면증 완화에 좋은 약초의 종류, 효능, 섭취방법 알아보기

by 심플청아 2025. 2. 9.
반응형

불면증 완화에 좋은 약초의 종류, 효능, 섭취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불면증에 좋은 약초

 

불면증 완화에 좋은 약초들은 신경을 안정시키고 수면을 유도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주로 차(茶), 달인 물(탕제), 가루, 캡슐, 에센셜 오일 등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습니다. 

 


1) 대추

한방에서 불면증 치료에 자주 사용하는 약재입니다.

신경을 안정시키고, 수면을 돕는 작용이 있습니다.

따뜻한 물에 대추를 넣고 끓여서 차로 마시면 효과적입니다.

 

성분: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γ-아미노뷰티르산(GABA)

작용: 신경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를 줄이며, GABA는 뇌의 흥분을 억제하여 숙면을 유도합니다.

 

 

 

 

 

 

 

 

✅ 대추차:

말린 대추 530분 끓입니다.
기호에 따라 꿀을 첨가해 마시면 더욱 좋습니다.


✅ 대추 달인 물:

대추, 감초, 원지를 함께 넣고 달여서 마시면 숙면 효과가 강화됩니다.


✅ 대추 가루:

대추를 말려 곱게 갈아 가루로 만들어 따뜻한 물이나 우유에 타서 섭취할 수 있습니다.


✅ 대추 음식 활용:

죽이나 삼계탕에 넣어 먹어도 숙면을 돕습니다.

대추




2) 감초

스트레스로 인한 불면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신경을 안정시키고 소화에도 좋습니다.

차로 마시면 부드러운 단맛이 있어 부담 없이 섭취할 수 있습니다.

 

성분: 글리시리진(Glycyrrhizin), 플라보노이드

작용: 신경을 진정시키고 부신 피질 호르몬 조절을 돕습니다. 스트레스 완화 효과도 있어 긴장성 불면증에 좋습니다.

 

 

 

 

 

 

 

✅ 감초차:

감초 210분 우려 마십니다.
단맛이 강하므로 적당량만 사용해야 합니다.


✅ 감초 달인 물:

감초, 대추, 생강을 함께 넣고 끓이면 감미롭고 따뜻한 수면 유도 음료가 됩니다.


✅ 주의사항:

감초는 과다 섭취 시 혈압 상승, 부종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하루 5g 이내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초



3) 원지(遠志)

한의학에서 신경 안정 및 기억력 증진에 사용되는 약초입니다.

불안과 스트레스를 줄여 불면증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감초나 대추와 함께 달여 마시면 효과가 더욱 좋습니다.

 

성분: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

작용: 신경계를 안정시키고 불안감을 줄이며, 집중력 향상에도 도움을 줍니다.

 

 

 

 

 

 

✅ 원지차:

말린 원지 뿌리 320분 달여 마십니다.


✅ 원지환:

한방에서 대추, 감초와 함께 약재를 환 형태로 만들어 숙면을 돕는 약으로 사용합니다.


✅ 주의사항:

쓴맛이 강하므로 대추나 감초와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원지



4) 용안육(龍眼肉)

용안(용안나무의 열매)의 과육으로, 불면증과 신경 안정에 자주 사용됩니다.

혈액순환을 돕고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대추와 함께 달여 마시면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성분: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철분

작용: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신경을 안정시키며, 불안과 스트레스 감소 효과가 있습니다.

 

 

 

 

 

 

✅ 용안육차:

말린 용안육 5~6개를 물 300mL에 넣고 끓여서 차로 마십니다.
대추와 함께 끓이면 단맛이 나고 숙면 효과가 더욱 좋아집니다.


✅ 죽이나 음식에 활용:

쌀죽에 넣어 끓이거나, 따뜻한 우유에 섞어 마시면 좋습니다.

 

 

용안육




5) 시계꽃(패션플라워, Passionflower)

서양에서 불면증 치료에 사용되는 허브입니다.

신경 안정 효과가 뛰어나 스트레스성 불면증에 좋습니다.

차로 우려 마시면 숙면을 돕습니다.

 

성분: 플라보노이드(아피제닌, 크리신), GABA 유도체

작용: GABA 수용체에 작용하여 신경을 안정시키고 자연스러운 졸음을 유도합니다.

 

 

 

 

 


✅ 허브차:

말린 시계꽃 110분 우려 마십니다.


✅ 캡슐:

건강 보조제로 판매되는 시계꽃 추출물 캡슐을 섭취할 수도 있습니다.


✅ 주의사항:

과다 섭취 시 졸음과 어지러움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하루 1~2컵 정도가 적당합니다.

 

 

시계꽃





6) 라벤더

향이 강한 허브로, 심신을 안정시키고 수면의 질을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라벤더 차를 마시거나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아로마테라피도 도움이 됩니다.

 

성분: 리날룰(Linalool), 리나릴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작용: 신경계 진정 효과가 뛰어나며, 향기를 맡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가 줄어들고 수면 유도가 됩니다.

 

 

 

 

 

 

✅ 라벤더차:

말린 라벤더 꽃 110분 우려 마십니다.


✅ 아로마테라피:

라벤더 에센셜 오일을 베개에 한두 방울 떨어뜨리거나, 디퓨저에 넣어 향을 맡으면 숙면을 돕습니다.


✅ 목욕제 활용:

라벤더 오일을 따뜻한 물에 넣고 족욕이나 반신욕을 하면 긴장이 풀립니다.


✅ 주의사항:

에센셜 오일은 직접 섭취하면 안 되며, 사용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라벤더




7) 발레리안(Valerian Root, 길초근)

신경을 진정시키고 깊은 수면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허브입니다.

불면증 완화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차나 보충제로 섭취할 수 있습니다.

 

성분: 발레렌산(Valerenic acid), 이소발레릭산, 플라보노이드

작용: GABA 작용을 강화하여 뇌의 흥분을 억제하고, 수면 시간을 증가시킵니다.

 

 

 

 

 



✅ 발레리안차:

말린 발레리안 뿌리 215분 우려 마십니다.


✅ 캡슐 또는 추출물:

발레리안 성분이 함유된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할 수도 있습니다.


✅ 주의사항:

냄새가 강할 수 있으며, 과다 섭취 시 졸음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하루 1~2회 정도만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성분들은 주로 GABA(γ-아미노뷰티르산) 작용을 강화하거나 신경계를 진정시키는 효과를 통해 불면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발레리안, 시계꽃, 라벤더 등은 서양에서도 수면 개선을 위해 널리 사용됩니다.

 

 

발레리안

 

 

마무리 정리

✔ 차로 마시기: 대추, 감초, 원지, 용안육, 시계꽃, 라벤더, 발레리안
✔ 달인 물 마시기: 대추, 감초, 원지, 용안육
✔ 캡슐 또는 환 형태: 발레리안, 시계꽃, 감초, 원지
✔ 아로마테라피: 라벤더
✔ 음식 활용: 대추, 감초, 용안육

이 약초들은 자연스럽게 신경을 안정시키고 숙면을 돕는 효과가 있으므로 꾸준히 섭취하면 불면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이 외에도 쑥, 국화, 레몬밤 같은 허브들도 수면을 돕는 효과가 있습니다. 개인의 체질과 건강 상태에 따라 효과가 다를 수 있으므로, 장기간 섭취 전에는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추의 효능, 성분, 먹는 법, 부작용 및 유래 알아보기

대추의 효능, 성분, 먹는 법, 부작용 및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대추는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추에 함유된 비타민 C, 비타민 B, 미네랄, 식이

simplechunga.tistory.com

 

라벤더의 효능, 성분, 먹는 법, 부작용 및 유래 알아보기

라벤더의 효능, 성분, 먹는 법, 부작용 및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1. 라벤더란? 라벤더(Lavender)는 꿀풀과의 다년생 식물로, 주로 향수, 화장품, 차, 오일 등에 사용됩니다. 라벤더의 학명은 Lavendula

simplechunga.tistory.com

 

설사에 좋은 약초 8가지와 활용 방법 알아보기

설사에 좋은 약초 8가지와 활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설사에 좋은 약초는 소화기 건강을 돕고 장운동을 조절하며 염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들입니다. 아래는 설사에 유익한 약초들

simplechunga.tistory.com

 

 

소화 불량, 만성 위장병에 좋은 약초 6가지와 그 효능

소화불량, 만성 위장병에 좋은 우리 약초 6가지는 무엇이며 그 성분과 효능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소화불량의 원인은 불규칙한 식사습관이나 급하게 먹는 등 잘못된 식습관으

simplechunga.tistory.com

 

 

 



반응형